고온용 합금강 볼트재 (KS D 3755) 고온용 합금강 볼트재는 SNB5, SNB7, SNB16의 3종이 규격화 되어 있으며, 볼트재란 나사 가공을 하지 않은 봉강 및 봉강을 말하고 스터드 볼트(stud bolt)를 말한다. 주로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는 압력용기 밸브나 플랜지 및 이음쇠 등에 사용하는 합금강 볼트재 규격이다. JIS에서는 JIS G 4107 고온용 합금강 볼트재로 규격화되어 있다. ■ 종류와 기호 및 적용 지름 종류 기호 적용 지름 참고 1종 SNB 5 지름 100 mm 이하 AISI 501 ASTM A 193-B5 5% 크로뮴 강 2종 SNB 7 지름 120 mm 이하 AISI 4140, 4142, 4145 ASTM A 193-B7 크로뮴 몰리브데넘 강 3종 SNB 16 지름 180..
철과 강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철이라고 하는 금속은, 순도 100%의 상태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가 흔히 철이라고 부르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강이라는 금속을 말합니다. 1. 강의 특징과 철의 차이 강(鋼)은 철에 0.02%~1.7%의 탄소(C)를 첨가한 합금으로, 그 밖에도 적은 양의 망간(Mn)이나 황(S) 등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철과 강의 차이는 함유하고 있는 탄소량의 차이로부터 오는 물성의 차이에 있습니다. 강은 철보다 강도와 인성(끈끈한 성질), 가공성이 뛰어난 금속입니다. 철은 탄소량이 0.02% 미만인 금속으로, 취약하고 산화하기 쉬우며 가공이 곤란하기 때문에 공업용 제품의 재료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강은 탄소량이 많아질수록 단단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그런 ..
프리하든(prehardening)강은 일명 조질강으로 불리우며 사전에 열처리가 실시된 금속 재료를 말합니다. 절삭가공에 적합한 조질강은 금형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지요. 프리하든강은 탄소강 등의 강재에 조질이라는 열처리를 실시한 것으로 조질강이라고 한다고 했는데요. 일반적인 탄소강에서는, 담금질의 온도는 800℃~850℃, 템퍼링의 온도는 420℃ 정도로 행해지는 것에 비해, 조질에서는 템퍼링이 약 500℃ 전후로 행해집니다. 담금질에 의해 생긴 크고 딱딱한 결정을 비교적 고온에서의 템퍼링에 의해 미세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것에 의해, 열처리가 실시된 재료이면서, 절삭 등의 기계 가공이 실시하기 쉬워지게 되는 것입니다. 프리하든강은 대부분의 소재에 있어서 HRC(로크웰 경도)는 40~45 정도가 되어 있..
크리프[creep], 크리프곡선[creep-displacement-time curve], 크리프시험[creep test] 크리프[creep] 재료에 일정한 힘을 가해서 유지했을 때 생기는(시간경과에 따라) 변형의 총칭. 이 현상은 상온 부근에서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즉 재료의 변형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일정하면 힘을 가하고 있는 시간에 관계없이 결정되어 버린다. 그러나 시험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크리프현상이 명료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중온(中溫)에서 변형과 시간의 관계(크리프곡선)는 대수함수적인 것(그림의 곡선C, B)으로 되고, 변형속도(크리프속도)는 시간과 함께 계속 감소하고, 변형속도(그림의 곡선구배)는 점근선(=0 또는 ∞>0)에 가깝다. 재료의 녹는점(절대온도)의 거의 1/2 이상인 온도에..
황동[brass] 놋쇠라고도 불리우는 Cu-Zn합금으로서, Pb, Sn, Al, Mn, Fe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성질을 개선한 합금이다. Cu에 Zn을 가하면 넓은 범위에 걸쳐서 고용체를 만들고, 약 38%까지는 α고용체에서 냉간으로 가공성이 우수하다. 38~43% 조성에서는 α+β고용체가 되어 경도가 증가하고 냉간가공성이 저하하여 열간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판이나 봉 또는 선으로 한다. α 및 α+β 조성영역의 합금에서 주물도 주조된다. Zn 43%를 넘으면 단단해서 무른 γ상이 생성하므로 43%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된다. 황동의 강도는 Cu에 대한 Zn의 고용강화와 냉간가공에 의한 가공강화에 의한 것으로, 주조와 소성가공이 쉽고 어느 정도의 강도와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갖추고 있다. 청동보다도 전기..
신동품 KS 금속재료 규격 무산소동(O.F.H.C Oxygen-Free High-Conductivity Copper) 무산소동은 삼소 및 탈산제가 함유되지 않은 동으로 정제된 고품질의 전기동(LME A등급, 순도99.99%)을 사용하여 진공 상태 또는CO gas에 의한 환원성 분위기 상태에서 용해 주조하여 산소함유량이10ppm 미만(ASTM기준)인 동을 말하며 일반Tough Pitch동보다 높은 도전율, 열전도도, 재 결정온도 와 우수한 가공성을 갖고 있다. 또한 무산소동은 전자, 전기기기의 중요한 재료로써 높은 효율과 정밀성, 내구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고 있다. (출처 : Sam Dong Korea) 타프피치동 전기동을 용융정제하여 동 중의 산소를 0.02~0.04% 함유한 정련동으로 타프피치동의 ..
킬드강[killed steel] 제강시 Si나 Al 등의 강력한 탈산제를 사용하여 탈산한 강(鋼)이란 의미로 탈산강 또는 진정강이라고도 한다. 충분히 탈산한 후 주형에 주입하므로, 응고 중에 CO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고 조용하게 응고시키기 때문에 연속주조에 적합하다. ☞림드강 림드강[rimmed steel] 전로나 전기로로 정련된 용강에 강탈산제를 가하지 않는 강을 의미. 용강 속에 용해하고 있는 C와 O가 응고시에 반응하여 CO기포가 되고, 이것이 응고강의 표면 근방에 포착된다. 이 포착된 기포가 많은 표면 부근을 림층이라고 한다(림은 영어로 차륜의 테두리를 의미). 림층의 안쪽을 코어라고 한다. 기포가 발생하고 미(未)응고용강이 교반되는 현상을 리밍액션이라고 한다. 리밍액션이 연속주조할 때 브레이크아웃..
특수강[special steel] 특수강은 그 이름 그대로 특수한 성질을 갖는 강을 말한다. 주로 일본과 유럽에서 채용되고 있는 구분으로 보통강 이외의 강을 말하고 합금강도 포함된다. 니켈, 크롬, 알루미늄을 함유하고 있는 강으로 특수강을 압연한 강재는 주로 공구류나 기계부품 또는 가정용 식기 등에 이용한다. 단, 합금이 아니라도 특별한 품질이 보증되고 있는 강도 특수강에 포한된다. 주요한 것으로 구조용특수강(Ni강, Ni-Cr강, Cr강, W강, Mn강), 특수용도용특수강(합금강이 대부분), 공구용특수강(W강, Cr강, W-Cr강)의 3종이 있다. 특별히 정련되어 합금 원소를 첨가한 고급강으로 보통강에 대한 명칭. 종래 기술에서는 용광로(고로)로부터 얻어지는 선철 (약 4.5%의 탄소 를 포함)을 전로..
희토류원소[rare earth element] 주기율표 3A족의 제6주기에 란탄이 있다(57La). 좌상(左上)의 숫자는 원자번호라고 하고 수소에서 시작하여 원자질량 순(順)으로 나란히 57번째의 원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 57번에서 71번까지의 원소는 란탄, 세륨(58Ce), 프라세오디뮴(59Pr), 네오디뮴(60Nd), 프로메튬(61Pm), 사마륨(62Sm), 유로퓸(63Eu), 가돌리늄(64Gd), 테르븀(65Tb), 디스프로슘(66Dy), 홀뮴(67Ho), 에르븀(68Er), 툴륨(69Tm), 이테르븀(70Yb), 루테튬(71Lu)까지의 15개 있는데, 이들은 성질이 란탄과 매우 흡사하므로 란타노이드라고 불리운다. 여기에 제4 및 제5주기의 스칸듐(21Sc)과 이트륨(39Y)을 첨가한 17원소를 ..
흑심가단주철[black heart malleable cast iron] 보통주철에 나타나는 편상흑연은 강도를 저하시키므로, 이것을 제거하거나 괴상(塊狀)으로 하고 인성을 높인 것이 가단주철이다. 흑심가단주철은 백선철 중의 시멘타이트(Fe3C)를 풀림함으로써 흑연화시킨 것으로, 파면이 흑색을 띠는 것에서 명명되었다. Fe3C의 흑연화 풀림조건은 2단계로 한다. 제1단계에서는 870~950℃×4~40시간에서 레데부라이트 속의 Fe3C를 흑연화하고, 제2단계에서는 펄라이트 속의 Fe3C를 흑연화하기 위해 760℃에서 700℃까지 8~30시간 걸쳐 서냉한다. JIS에는 FCMB 270, 310, 340, 360이 있고, 숫자는 인장강도 [N/mm2]를 나타낸다. C 2.20~3.00%, Si 0.85~1.30%..
크롬스테인리스강[chromium stainless steel] 내식성이 크고 약 11% 이상의 Cr을 함유하는 합금강을 스테인리스강이라고 하는데, 크롬계스테인리스강은 그 중에서 Ni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총칭이다. 함유탄소량에 의해 페라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조직에서 강자성체이다. 저탄소량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13%Cr(JIS SUS 405 외)으로 SUS405는 터빈노즐, SUS430은 주방기기나 900℃ 이하의 내산화부품에, 중고탄소량의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강은 JIS SUS420J2, SUS440C가 대표강종으로서, 전자는 도구, 샤프트, 기계공구부품, 후자는 내식내열베어링, 고급도구에 쓰이고 있다.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화학성분 크로뮴(Cr)을 10.5% 이상 첨가하여 내식성을 높인..
크롬동[chromium-copper] Cr을 0.3~0.5%, Si를 0.1% 함유한 구리합금. 구리 속 Cr의 용해도는 온도에 따라 크게 변하므로 Cr은 시효경화 성분으로 되고 있다. 1000℃에서 담금질, 450~500 ℃에서 뜨임한다. Ag를 함유한 구리합금에 비해 도전율은 10~15% 떨어지지만, 연화온도가 500℃로 높고 양호한 내열성을 가진 도전재료이다. 옛날에는 진공관의 전극지지재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IC의 리드선, 용접용전극재로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크롬동(Chromium Copper)은 환봉이나 판, 주조품 등으로 제작된다. 우리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동의 약 80% 정도가 타프피치동 C1100이라는 동 제품인데 크롬동은 C1820으로 합금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C1100과 C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