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 KS규격 & 기계설계 실무 데이터북 저자 : 테크노공학기술연구소 발행처 : 도서출판 메카피아 발행일 : 2023년 01월 31일 초판 1쇄 발행 ISBN : 979-11-6248-161-5 정가 : 32,000원 쪽수 : 800쪽 오늘날 기계설계 분야는 기계역학, 재료역학, 동역학, 정역학, 유체역학, 기계가공 등과 기계요소설계의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2D & 3D CAD를 통한 도면 작성능력과 더불어 기계공학적 지식과 컴퓨터에 관련된 지식을 모두 갖추어야 하는 전문 기술 직업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제조 산업의 뿌리와 같은 분야이다. 기계설계는 기계제조 산업이 관련 산업의 첨단화(자동화)와 스마트 팩토리 등으로 인해 창의적인 설계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기로 관련 기..
프릭션롤러(Friction roller) 컨베이어(Conveyor)란? 프릭션롤러(Friction roller)는 체인에 강제구동 회전하는 내륜의 외경에 마찰에 의해 회전하는 프릭션롤러를 설치한 타입으로 추진력이 반송중량에 따라 일정한 비율을 얻을 수 있다. 롤러 내측의 면과 바깥의 마찰판을 스프링으로 밀어서 롤러의 구동력을 조절한다. 프릭션롤러 질문요?? 프릭션롤러 (FRICTION ROLLER)에 대해서... 프릭션 롤러는 주로 자동차 부품 자동화 라인이나 물류 이송라인 같은 공장에서 흔히 만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롤러(Roller)의 내경에 부시(Bush)를 삽입하고 구동 스프로켓(Sprocket) 축경에 끼워넣어 제품 이송시 부하가 발생하면 롤러는 고정이 되고 스프로켓만 회전하는 원리이므로..
베어링 설치 축 및 하우징의 설계치수 축·하우징의 정밀도와 거칠기 축이나 하우징의 정도불량이 있는 경우 베어링도 그 영향을 받아, 필요한 성능을 발휘할 수가 없다. 예 를들면 설치부의 턱에 정도불량이 있으면, 베어링의 내륜·외륜간에 경사를 일으키고, 베어링하중 외에 모 서리에 집중하중(edge load)이 가해지며, 베어링의 피로수명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리테이너의 파손, 타 붙음 등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 하우징은 외부하중에 의한 변형이 적고, 베어링 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있는것이 필요하 다. 강성이 높을수록 베어링의 음향이나, 하중배분등 에 유리하다. 일반적인 사용조건으로는, 끼워맞춤면의 가공은 선 삭가공 또는 정밀 보오링가공 등으로도 좋지만, 회전 의 진동이나 음..
육각홈붙이볼트는 어떻게 생긴 것인지 다 알고 계실 것입니다. 육각머리볼트하고는 머리부가 완전히 다르게 생긴 볼트이지요. 실무 설계시에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에 가끔 "자구리"라는 표현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자구리( ザグリ, 座ぐり)는 일본어로서 기계 공학용어로 스폿페이싱(자리파기, spot facing)이라고도 하는데요. 스폿페이싱은 볼트나 너트의 체결시 자리를 만들어주거나 나사의 머리부를 구멍을 파서 그 안에 집어넣기 위한 절삭가공을 의미합니다. 볼트머리나 와셔 및 너트 같은 기계요소의 접촉되는 부분만 편평하게 다듬질하는 작업을 말하고 주물품이나 단조품 등 표면이 거친 제품의 경우 흑피 부분은 이런 자리파기 가공을 하여 볼트 체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흔히 카운터보어, 카운터싱킹, 스폿페..
도면에서 치수 앞에 붙어 있는 PCD의 의미는? PCD는 Pitch Circle Diameter의 약자이며 피치원직경으로 번역할 수 있다. 위의 도면에서 4개소에 M6의 탭 가공을 하는데 PCD가 45로 되어 있다. PCD45=직경(지름) 45mm의 가상 원 4×M6=M6의 탭 구멍이 4개소 즉, Ø45의 가상 원상에 M6 탭(Tap)이 등분(같은 간격/같은 각도)으로 4개소를 가공하라는 지시를 나타내고 있다. KS 제도법에서는 PCD라는 표기가 규격화되어 있지는 않은 것 같다. 물론 JIS에서도 그런 것 같고.... 도면을 작도시 가공자가 알기 쉽게 표현하기 위해서 편의상 기재를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보면, 예를들어 [P.C.D.30]과 같이 D의 뒤에도 마침표가 붙..
공차, 편차 및 끼워맞춤 용어와 끼워맞춤 계산 제1부 : 공차, 편차 및 끼워맞춤의 기본 KS B ISO 286-1 1. 기본 용어(Basic terminology) 용어 영문 정의 몸체 형체 feature of size 어떤 크기를 선 치수(linear dimension)또는 각도 치수(angular dimension)로 정의한 기하학적 형상 공칭 통합 형체 nominal integral feature 기술 도면이나 그 외의 방법에 의해 정의된 이론적으로 정확한 통합 형체 구멍 hole 가공품의 내부 몸체 형체로, 원통형이 아닌 내부 몸체 형체를 포함한다. 기준 구멍 basic hole 구멍 기준식 끼워맞춤 시스템에 대한 기준으로 선정된 구멍 [비고] ISO 코드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기준 구멍은 아래..
기계설계시 부품과 부품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는 볼트로 보통 육각머리볼트와 육각홈붙이볼트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육각머리볼트는 말 그대로 아래 이미지처럼 볼트의 머리가 육각형으로 생긴 것으로 이 볼트를 조이거나 풀 적에는 아래와 같은 육각렌치를 사용하거나 박스 스패너, 몽키 스패너같은 공구를 사용한답니다. 육각머리볼트는 부품 체결시 볼트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기본이고 스패너를 돌릴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설계자는 설계시에 조립분해성까지 고려를 해야 합니다. 또한 어던 경우에는 볼트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도 있는데요. 이런 경우 육각머리볼트의 머리 부분을 구멍을 크게 파서 심는다면 당연히 안되겠지요. 육각머리볼트의 머리부 사이즈뿐만 아니라 스패너나 렌치가 들어갈..
IT기본공차의 값과 적용 ISO 공차방식에 따른 기본공차로서 치수공차와 끼워맞춤에 있어서 정해진 모든 치수공차를 의미하는 것으 로 IT기본공차 또는 IT(International Tolerance)라고 호칭하고, 국제 표준화 기구(ISO)공차 방식에 따라 분류하며, IT01 부터 IT18까지 20 등급으로 구분하여 KS B 0401에 규정하고 있다. 구멍과 축의 기준 치수에서 몇 가지 정해진 공차가 주어지는데 그 크고 작은 단계를 공차등급이라고 한다. 국제 규격인 ISO에 있어서, 등급에는 IT 기본 공차(ISO Tolerance의 약어)가 이용된다. 예를 들어, IT7과 같이 IT라는 문자와 그 뒤에 오는 숫자에 의해 지정된다. 또한, 공차등급이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를 나타내는 문자와 결합하여 공차..
키플레이트(key plate)의 설계 치수 및 적용 예 키플레이트(key plate)는 축에 홈을 파서 키를 때려박는 평행키와 다른 것으로 주로 핀이나 축 같은 요소를 조립 후 바져나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축의 끝 부분에 홈 가공을 하여 플레이트를 그 홈에 끼우고 볼트로 고정하는 부품이다. 힌지핀(hinge pin)같은 기계요소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힌지핀이 이탈되어 빠져버리지 못하도록 보통 아래 3D이미지와 같이 축의 한쪽 부분에만 홈 가공을 하여 키플레이트 설치한다. 일본어로는 힌지핀 키, 멈춤용 키 또는 고정용 키라고 불리기도 한다. 키플레이트를 축의 양쪽에 설치시 키플레이트를 축의 한쪽에 설치시 1. 재료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또는 열간 압연 박강판을 사용한다. 2. ..
평행키 규격 및 설계 공차 적용(평행키 활동형, 보통형, 조임형) KS B 1311 키(key)는 동력을 전달해주는 축(shaft)에 풀리(pulley), 기어(gear), 플라이휠(fly wheel), 커플링(coupling), 클러치(clutch) 등의 동력전달용 회전체를 고정시켜서 토크를 전달하는 경우, 축과 회전체가 미끄럼 없이 회전운동을 전달시키는데 많이 사용되는 기계요소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축과 회전체의 보스(boss) 양쪽에 키 홈을 파서 키를 때려 박아 고정시키는 결합용과, 보스를 축에 고정시키지 않고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 활동형(구 : 미끄럼키)이 있다. 시험 과제도면에는 흔히 베어링에 축을 끼워맞춤한 후 한쪽은 고정상태로 다른 한쪽은 회전체(기어, 벨트풀리, 스프로킷 ..
안녕하세요. 오늘 추천드릴 기술도서는 바로 "실무에 유용한 기계설계데이터북"이라는 책입니다. 총 608페이지로 구성된 이 책은 기계설계 실무나 초보 입문 엔지니어들에게 유용한 도서가 될 것 같습니다. 각종 단위, 기계요소설계, 설계계산공식, 설계규격, 기하공차, 공차와 끼워맞춤 등등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적인 지식이 수록된 도서입니다. 아래의 미리보기 이미지를 참고하세요~
컨베이어 체인장력조절기(Chain tension adjuster) 체인 장력 조절기는 체인 텐셔너, 텐션 조절기, 체인 장력 조절기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데 아래 3D이미지 속의 장치는 텐셔너라고 시판도 되고 있는 장착과 탈착이 용이한 텐셔너 유니트로 체인이나 벨트 구동시 활용가능한 텐셔너 유니트이다. 풀리 사용형 컨베이어 벨트 장력 조절장치 같은 것들은 규격화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나 체인 구동의 경우 벨트나 체인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쳐저 구조물과 감섭이 발생한다거나 하면 문제가 된다. 컨베이어벨트는 일정한 장력(텐션, TENSION)을 유지해주어야 원활한 구동이 이루어지며 아래와 같은 장치들을 컨베이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좌측의 육각머리 볼트를 돌려 전후진 시키면 슬라..